Lady Gaga - The Joker
[Verse 1]
There’s always a joker in the pack
언제나 무리 속엔 조커가 있어.
There’s always a lonely clown
항상 외로운 광대도 있고.
The poor laughing fool falls on his back
불쌍한 바보는 넘어지고 나서도 웃음거리가 돼.
And everyone laughs when he’s down
사람들은 그가 쓰러질 때마다 웃지.
There’s always a funny man in the game
게임 속엔 항상 웃긴 녀석이 있어.
But he’s only funny by mistake
근데 그 웃음도 결국 실수일 뿐이고.
And everyone laughs at him just the same
그걸 보고 사람들은 똑같이 비웃어.
They don’t see his lonely heart break
그의 외로운 마음이 부서지는 건 아무도 신경 쓰지 않지.
[Pre-Chorus]
They don’t care as long as there is a jester, just a fool
그저 어릿광대가 있으면 사람들은 신경 안 써.
As foolish as he can be
얼마나 바보 같든 상관없이.
There’s always a joker, that’s the rule
항상 조커가 있어야 해, 그게 규칙이니까.
But fate deals the hand that I see
근데 내가 보는 패는 결국 운명이 쥐어준 거야.
[Chorus]
The joker is me, the joker is me
조커는 나야, 조커는 나라고.
The joker is me, the joker is me
조커는 바로 나야, 나라고.
The joker is me
조커는 나야.
[Verse 2]
Drink the poison ‘cause there’s always a loser in the game
독을 마셔, 게임엔 항상 패자가 있기 마련이니까.
The court loves to watch them cry
법정은 그런 패자가 울부짖는 걸 즐기지.
The royals shout, “This queen needs to sing”
왕족들은 외쳐, “이 여왕이 노래를 불러야 해!”
To ruffle the scene of the crime
범죄 현장을 흐트러뜨리기 위해서.
The king wears a funny suit, he’s a clown
왕은 우스꽝스러운 옷을 입고, 광대가 돼.
The crowd rumbles with their roars
관중은 웃음소리로 떠들썩하고.
And everyone watches as he declines
사람들은 그가 몰락하는 걸 지켜보지.
The queen pierces him with a sword
여왕은 그를 칼로 찌르며 끝내고.
[Pre-Chorus]
I don’t care as long as there is a wild man in the deck
덱에 미친 녀석 하나만 있다면 상관없어.
As long as I see his frown
그의 찌푸린 얼굴만 볼 수 있다면.
Then I won’t be lonely, that’s a fact
그럼 나는 외롭지 않을 테니까, 그건 확실해.
I stand here and wait for his sound, ha, ha, ha
여기 서서 그의 웃음소리를 기다리는 거야, 하, 하, 하.
[Chorus]
The joker is me, the joker is me
조커는 나야, 조커는 바로 나라고.
The joker is me, the joker is me
조커는 바로 나야, 내가 조커야.
The joker is me
조커는 나야.
[Outro]
The joker is me
조커는 나야.
The joker is me
조커는 나라고.
The Roar of the Greasepaint – The Smell of the Crowd :The Joker(1964)
The Joker는 1964년 뮤지컬 The Roar of the Greasepaint – The Smell of the Crowd에 수록된 곡으로, 주인공인 Cocky가 자신의 고난과 사회적 위치를 성찰하며 부르는 노래입니다. 이 뮤지컬은 영국의 계급 구조를 풍자적으로 묘사하며, Cocky와 Sir의 관계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을 드러냅니다.
이 곡은 Cocky가 자신을 ‘조커’에 비유하며, 사회에서 조롱받고 소외된 존재로 느끼는 감정을 표현합니다. 가사에서는 “There’s always a joker in the pack”와 같은 표현을 통해, 사회에서 항상 희생양이 되는 이들의 현실을 묘사합니다.
The Joker는 이후 여러 아티스트들에 의해 커버되었으며, 특히 Shirley Bassey와 Bobby Rydell의 버전이 유명합니다. 이 곡은 현대에도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되며, 사회적 소외와 개인의 내면적 갈등을 표현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영화 Joker: Folie à Deux에서 이 곡이 사용되며, 주인공의 내면적 갈등과 사회적 소외를 강조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The Joker는 시대를 초월하여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곡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thony Newley - Gonna Build a Mountain (2) | 2024.11.17 |
---|---|
Lady Gaga - Folie à Deux (18) | 2024.11.16 |
Nat King Cole - Smile (0) | 2024.11.14 |
밴드 웨곤 (The Band Wagon) - That's Entertainment (2) | 2024.11.13 |
Gwen Verdon - If My Friends Could See Me Now (6)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