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

Nat King Cole - Smile

Threads 2024. 11. 14. 20:58

 

Lady Gaga - Smile

https://www.youtube.com/watch?v=nHhrkD9KhCI

[Verse 1]

Smile, though your heart is aching

미소 지어요, 마음이 아플지라도

Smile, even though it’s breaking

미소 지어요, 마음이 무너질 때에도

When there are clouds in the sky

하늘에 구름이 낄 때

You’ll get by

잘 이겨낼 거예요

 

[Verse 2]

If you smile through your fear and sorrow

두려움과 슬픔 속에서도 미소 지으면

Smile, and maybe tomorrow

미소 지어요, 그러면 아마 내일은

You’ll see the sun come shining through

당신을 위해 햇살이 비치는 걸 볼 수 있을 거예요

For you

당신을 위해

 

[Verse 3]

Light up your face with gladness

기쁨으로 얼굴을 밝혀요

Hide every trace of sadness

모든 슬픔의 흔적을 감춰요

Although a tear may be ever so near

눈물이 금방이라도 흐를 것 같아도

 

[Chorus]

That’s the time you must keep on trying

그럴 때일수록 계속 노력해야 해요

Smile, what’s the use of crying?

미소 지어요, 울어도 소용없어요

You’ll find that life is still worthwhile

삶이 여전히 가치 있다는 걸 알게 될 거예요

If you just smile

당신이 미소만 짓는다면

 

[Interlude]

Souriez même si votre cœur se brise

마음이 부서질지라도 미소 지어요

Quand il y a des nuages dans le ciel

하늘에 구름이 있을 때

Vous vous en sortirez si vous souriez

당신이 미소 지으면 이겨낼 수 있어요

Souriez, souriez

미소 지어요, 미소 지어요

Je vous adore

당신을 사랑해요

 

[Chorus]

That’s the time you must keep on tryin’

그럴 때일수록 계속 노력해야 해요

Smile, what’s the use of cryin’?

미소 지어요, 울어도 소용없어요

You’ll find that life is still worthwhile

삶이 여전히 가치 있다는 걸 알게 될 거예요

If you just smile

당신이 미소만 짓는다면

 

 


Smile, Charlie Chaplin , Modern Times, 1936

https://www.youtube.com/watch?v=Ps6ck1ejoAw

찰리 채플린의 영화 모던 타임즈(1936)에서 처음 소개된 노래 Smile은 시간이 지나면서 영화 음악을 넘어 대중음악과 문화에 깊이 스며든 곡입니다. 가사가 없는 연주곡으로 시작된 이 곡은 1954년 존 터너와 제프리 파슨스가 가사를 덧붙이면서 오늘날 우리가 아는 가사 버전으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모던 타임즈에서의 장면과 찰리 채플린의 예술적 메시지가 결합되어 삶의 고난 속에서도 미소를 잃지 않는다는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래 “Smile”의 탄생 배경과 영화적, 음악적 의미를 탐구해보겠습니다.

 

모던 타임즈는 산업화와 자본주의로 인한 기계적 삶을 풍자하며, 영화 전체가 무성영화 스타일로 제작되었습니다. 영화에서 채플린이 연기하는 ‘떠돌이(Tramp)’는 기계에 의해 억압받는 현대인의 모습을 표현하며, 산업화된 세상 속에서 개인이 어떻게 소외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특히 대공황 시기를 겪고 있는 미국 사회에 큰 메시지를 전달했으며, 떠돌이의 우스꽝스럽지만 감동적인 모습은 관객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Smile은 이러한 모던 타임즈의 마지막 장면에서 흐르는 곡으로, 떠돌이가 험난한 길을 떠나는 장면에 맞춰 연주됩니다. 영화의 결말과 이 곡의 선율은 “어떤 고난이 와도 미소를 잃지 말자”는 메시지를 전하며 관객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1954년에 곡에 가사가 추가되며, 이 곡은 감정과 희망을 담은 노래로 재탄생했습니다. 가사 내용은 제목 그대로 ‘미소를 지으며 고난을 이겨내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Smile, though your heart is aching”과 같은 가사는 고통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말라는 격려로, 삶이 어려운 순간에도 희망을 가지고 나아가자는 긍정적 의미를 전달합니다. 가사와 선율이 어우러져, 노래는 단순히 위로를 넘어서 사람들에게 현실을 이겨낼 용기를 주는 곡이 되었습니다.

 

Smile은 이후 여러 아티스트들에 의해 커버되면서, 각기 다른 색깔로 해석되었습니다. 특히 냇 킹 콜(Nat King Cole)의 1954년 버전은 가장 널리 알려진 커버 중 하나로, 냇 킹 콜의 감미로운 목소리는 곡의 슬픔과 따뜻함을 동시에 전달하며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마이클 잭슨도 이 곡을 자신의 대표곡 중 하나로 삼아 공연에서 불렀으며, 그의 팬들에게는 감동적인 노래로 기억됩니다.

 


Nat King Cole - Smile

https://www.youtube.com/watch?v=phS7BfOfTOY

뿐만 아니라 이 곡은 수많은 영화와 TV 프로그램, 광고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슬픔과 희망이 교차하는 순간에 자주 등장하는 상징적인 곡이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Smile은 시대와 세대를 넘어 대중문화에 널리 영향을 미쳤습니다.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에서 시작된 Smile은 단순한 영화 음악을 넘어서는 곡으로, 세상에 지친 사람들에게 용기와 위로를 주는 노래로 자리잡았습니다. 이 곡은 가사의 유무를 떠나 듣는 이들에게 삶을 긍정하게 만드는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Smile은, 어려운 순간에도 미소를 잃지 않는 삶의 태도를 일깨우며 여전히 대중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하고 있습니다.